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달란트투자11강_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종목발굴 2탄

by 꿈꾸는 띵땅근 2021. 2. 26.

- 지분 공시를 통해 펀드/기관투자자들이 사는 종목을 알 수 있다.

- 전자 공시 시스템 → 최근 공시 → 5%임원 보고

 

보고서 크게 2가지로 나뉨

→ 임원,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 상황보고서 (기업 내부자가 내는 공시)

→ 주식 등의 대량보유 상황보고서 (기관투자자들이 내는 공시)

 

 

1. 임원,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 상황보고서


내부자 : (회사의 임원, 대주주의 친인척, 10%이상 주식 갖고있는 주주)

자신이 보유한 주식이 조금이라도 변동하면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 작성

ex) 1000억 가치 회사 → 50억은 투자해야 5%

대량보유 → 개미들 불가능.. 주로 기관투자자들이 작성

임원,주요주주 → 얘네는 1주라도 변동하면 보고해야함.

 

일반 슈퍼개미 대량보유자도 작성가능하니까.. 
기관투자자들이 작성한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 제출인 : ~자산운용 : 인터넷 검색해봐. 
제출인이 운용사인지, 아니면 일반 법인인지..

2. 펀드 운용사 평가사이트 펀드닥터
운용사들을 검색해볼 수 있고,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음. 
성과가 좋은 운용사를 골라내자. 

 

 

하락장에 운용사들이 사들인 주식


1. 헬릭스미스 (Bio업체)

- BlackRock이 5% 신규 보유

* BlackRock : 거대 글로벌 자산운용사

- 당뇨병성 신경병증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 임상 3상 진행중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음)

논란이 있는 회사 왜샀지? ETF 사들이다 보니 걍 사짐

- 외국인의 자본이 Bio쪽으로 쏠리고 있다. 

2. 리드코프 (대부업체)

- KB자산이 5% 신규 보유

- 상장사 유일의 대부업체

→ 정부가 대부업체 법정금리 40%에서 24%까지 낮춤 (대부업체 입장에선 악재)

- 금리 하락으로 경쟁업체 퇴출 (리드코프 입장에선 수혜)

- 법정금리 상한선 하락은 리스크. → 앞으로 20%까지 낮추려고 한다.

3. 유니테스트 (반도체 후공정장비 제조기업)

- 신영자산이 6.6% → 7.6%로 확대

-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flash) 장비 중 버닝테스트 장비에 특화

*버닝 장비 : 반도체가 가혹한 환경(열)에서도 작동하는지 테스트

- SK하닉, 중국업체들 납품

- 메모리 업황 반등 기대

 

 

 

 

느낀점


기관들은 도대체 어디에 투자할까? 항상 생각했었다. 경영학을 공부하면 알 수 있나? 했는데, 이런 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었네.. 오늘 유튜브로 최근 주식시장 분석 관련 강의 들을때, '저사람은 어디서 저런 자료를 들고오는거지?' '어떻게 정부의 움직임, 기관들의 움직임을 저 차트 하나로 예측하고 판단하지?' 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살짝 좀.. 좌절했다. 진짜 공부를 많이 해야 저정도 보이겠구나.. 저사람은 경제 분석을 업으로 삼고있는데, 그러면, 나는 얼마나 더 해야하나.. 라고 생각했고, 무기력해졌었다. 

그렇지만서도, 한발자국 한발자국이 중요하겠구나 생각했다. 꾸준히 하다보면.. 나도 언젠간 좀.. 상위 0.3%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3%의 사람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

용어


1. 법정 최고금리

금융업체가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한 최고 금리. 예금이 아닌 대출에만 적용된다. 금융회사, 대부업체가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만들어짐. 

꾸준히 낮아지는 중. 최고금리 위반한 금액은 반환 청구 가능

2. 채권 (기업에 대출해주기. 사람들은 매년 인컴 수익을 받는다)

채권은 본질적으로 기업이나 정부기관에 의해서 모집되고, 투자자들에 의해서 자금이 마련되는 ‘대출’의 한 형태입니다. 채권발행인은 만기일이라고 불리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대출을 상환하겠다는 약속을 합니다. 투자자들(채권보유자)은 만기일에 원금을 돌려받을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또는 고정적인 수입을 얻게 됩니다. 이때 투자자가 얻게 되는 수입을 ‘쿠폰이자(이표)’라고 합니다.

 

 

 

최근공시

 

dart.fss.or.kr

 

Fund Doctor - 펀드닥터

펀드 투자 정보 제공

www.funddoctor.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