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8 9. Image Filtering(2) (Histogram Equalization, Histogram Matching) 학습 내용 1. Histogram Equalization 2. Histogram Matching 3. 1. Histogram Equalization 2. Histogram Matching (Histogram Equalization의 일반화 버젼) Histogram Equalization은 픽셀값들을 일정한 값으로 따라가게끔 만드는 것이라면, Histogram Matching은 이보다 더 일반적으로, '특정한 histogram 분포'를 따라가게끔 만드는 것이다. 출처 참고1. 참고2. 2로 나누는 연산, 2로 곱하는 연산 -> 이런것은 (>>, 2021. 1. 10. 8. Image Filtering(1) (Convolution, Mean, Gaussian, median) 학습 내용 1. Image FIltering 종류 2. Convolution 3. Mean Filter(Box filtering) 4. Gaussian Filtering(smoothing) 5. Median FIltering 1. Image FIltering 종류 Box filtering Gaussian smoothing median filtering histogram equilization 등 1. Gaussian Noise 에는 Gaussian FIlter가 가장 좋다. 2. Median filter는 경계를 뚜렷하게 남기지만, low-texture(밝기 차이 거의 안나지만, 이미지에서 디테일한 부분들) 부분들이 흐려져서, 그림이 뭉개진다. 2. Convolution 참고 : 주파수 영역에서 conv.. 2021. 1. 4. [에이트:씽크] 인문학 Think05. 원어로 읽어라, Think06. 인문고전의 반열에 오른 해설서부터 시작하라 Think05. 원어로 읽어라. 1. 이유 1. 동서양 합 5000년 동안 인문고전 독서는 원전 읽기가 원칙이였다. -> 지금도 서양의 명문 사립학교에서는 원전 독서교육한다. 2. 인문고전 저자중에 번역서를 읽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3. 제아무리 훌륭한 번역자라 할지라도, 원전에 담긴 인문고전 저자의 영혼까지 번역할 수는 없다. 4. 우리나라에는 중역본과 축약본이 아주 많다. 5. 우리나라 번역서에는 잘못되 번역이 너무 많다. 비유하자면, 물리학과 학생들이 요약정리한 상대성이론에 관한 노트를 가지고 아인슈타인의 창조적 영혼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 미술학원에 다니는 원생들이 모사한 모나리자를 보면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예술적 영혼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 Thi.. 2021. 1. 4. 7. Morphology (Opening & Closing) 학습 내용 1. Dilation 2. Erosion 3. Opening 4. Closing 1. Dilation 2. Erosion 3. Opening erosion -> dilation 바깥의 작은 outlier들을 없앤다. 4. Closing dilation -> erosion 내부를 채운다. 출처 2021. 1. 3. [에이트:씽크] 인문학 Think04. 무아지경으로 사색하라 Think04. 무아지경으로 사색하라 : 사색할때 아무것도 하지말고, 완전 빠져라 1. 사색을 삶의 최우선 순위에 두어라. 일을 하다가도 사색할게 떠오르면 일 멈추고 사색. 사람들과 만나다가도 사색할게 떠오르면 혼자만의 공간으로 가서 사색. 밥먹는데 -> 숟가락 내려놓고 사색 잠자는데 -> 세수하고 사색 2. 육체의 한계를 초월해 사색하라 자신의 모든 영혼과 감각을 사색에 쏟아부으면 육체가 있는지도 모른다. 한번 사색을 시작하면 일말의 잡념도, 그 어떤 감각도 허용하지 마라. (마음의 검을 들어 쳐 없애라 ㅋㅋ) 3. 사람들의 시선이나 평가를 초월하라 이거는 뭐.. 2번 할줄알면 당연히 주변시선 신경안쓰게 되는거아닌가. 4. 해답을 얻을때 까지 사색하라 소크라테스도 사색의 난항을 겪었다. I don't .. 2021. 1. 3. [에이트:씽크] 인문학 Think03. 격물치지(格物致知) 하라. Think03. 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어라 格物致知 1. 격물치지? 한마디로, 무엇이든 깊게 생각해서 진리를 찾아내라. 서양의 철학, 과학, 물리 등. 格 격식 격 物 만물 물 致 이를 치 知 알 지 만물을 알게되는 격, 자세에 이르러라. 2. 두가지 믿음과 세가지 방법 1) 믿음 1. 내 마음은 본래 신령스러운 것으로 이미 완전한 앎을 가지고 있다. 2. 우주 만물은 모두 이치(=진리)를 가지고 있다. 2) 세가지 방법 1. 인문고전에 나오는 글자의 이치를 파고든다 -> 한글자 한글자.. 의 仁을 이해하려면, 다른책도 찾아봐야한다. 2. 역사 고전 독서를 통해 흥망성쇠의 이치를 파고든다. ->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흥망성쇠 / 유방과 항우의 성공 실패요인 분석 : 출생부터 사망까지. .. 2021. 1. 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2 다음